Dual Skin Project shakes stereotypical logic and sensitivity on sculpture and disturbs inherent values of sculpture. It tries reflective introspection on sculpture as a solid material world, in other words, on a sculpture coming and going between a property of mass and an illusion of volume.
I strongly hint that our recognition on the rest objects and the object has a dialectical relationship that dual structure such as mass and volume, the out and the inside, existence and nonexistence, etc. coexists.
Light is dual existence that is matter and is not matter at the same time. The dualism of light comes from properties of light that exists as a particle sometimes and exists as wave sometimes. Dual Skin Project shows a problem of dualism. I draw light and criticize visual uniformity noticing only external shape. Strategy that crosses solid metal and fluid-like light, matter and non-matter contains a reason of the world that 2 kinds of elements coexist, that is, a problem of dualism. The sculpture works made of stainless steel has unchangeable material structure. It is material that keeps it existence very stably and occupies physical space. The thing that supports solid stability of material called sculpture is volume. My sculptures with an affluent sense of volume reproduce existence of objects in a more attractive way due to unique surface texture that scratches out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nd connects its pieces.
I reduced lighting that illuminates the surface of sculpture from the outside, instead, sends light from the inside of sculpture to the outside, so I overturned logic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Light emitting from the inside of sculpture dissolve solid volume. Due to his illumination technique making light shine through little holes generated by traces of welding passing through a metal surface fast, my sculpture technique passes over a stage of reproduction art depending on an illusion. I awaked that our belief on existence of objects depends on an illusion as the words by drawing light inside sculpture works. By crossing the uni-directionality of the outside lighting that illuminates sculpture with the inside lighting, his sculpture takes a position as a metaphor on the world full of dualism. In other words, I am speaking the nature and civilization and the dualism soaked into our life through metaphoric language drawing a relationship between metal and light.
While the elements such as material and non-material, volume and light, inside and outside, fullness and emptiness, etc. are mutually colliding, the sculpture of dual skin project acquires thinking and sensitivity of dualism in a process searching for New Harmony.
Dual skin project는 조각에 관한 상투적인 논리와 감성을 뒤흔들며 조각 고유의 가치들을 교란한다. 이는 견고한 물질세계로서의 조각, 다시 말해서 매스의 물성과 볼륨의 환영 사이를 오가는 조각 개념에 대해 반성적 성찰을 시도한다. 이는 여타의 사물들과 그 사물에 관한 우리의 인식이 매스와 볼륨, 바깥과 내부, 있음과 없음 등의 이원적 구조가 공존하는 변증법적 관계에 놓여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빛은 물질이면서 동시에 물질이 아닌 이중적인 존재이다. 빛의 이중성은 때로는 입자로 존재하고 때로는 파동으로 존재하기도 하는 빛의 특성에서 나온다. Dual skin project가 보여주는 것은 이중성의 문제이다. 빛을 끌어들여 조각의 겉모습에만 주목하는 시각적 획일성을 비판한다. 견고한 금속과 유동적인 빛, 물질과 비물질을 교차하는 전략은 두 가지의 요소들이 공존하는 세상의 이치, 즉 이중성의 문제를 담고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조각 작품은 불변의 물질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매우 안정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지키며 물리적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이다. 조각이라는 물질의 견고한 안정성을 지탱하는 것은 볼륨이다. 풍부한 볼륨감을 가진 조각들은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흠집을 내고 그 조각들을 이어붙인 독특한 표면질감으로 인해 더욱 더 매력적인 방식으로 사물의 존재를 재현한다.
외부에서 조각의 표면을 비추는 조명을 줄이고 대신에 조각의 내부에서 그 바깥으로 빛을 내보냄으로써 안과 바깥의 논리를 뒤집어버린다. 조각의 내부에서 발산하는 빛은 견고한 볼륨을 해체한다. 빠르게 금속 표면을 지나가는 용접의 흔적으로 인해서 생긴 작은 구멍들 사이로 빛이 새어나오게 만드는 조명술(照明術)로 인해 조각술(彫刻術)은 일루전에 의존하는 재현미술의 단계를 넘어선다. 빛을 조각 작품 안으로 끌고 들어감으로써 사물의 존재에 관한 우리의 믿음이 말 그대로 일루전에 의존하고 있음을 각성하게 한다. 조각을 비추는 외부 조명의 일방성을 내부 조명과 교차시킴으로써 조각은 이중성으로 가득한 세계에 관한 은유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금속과 빛의 관계를 끌어들여 은유적인 언어를 통해서 자연과 문명, 그리고 우리 삶 속에 베어있는 이중성을 말하고 있다.
물질과 비물질, 볼륨과 빛, 안과 밖, 가득참과 비어있음 등의 요소들이 상호출동하면서 새로운 조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dual skin project는 이중성의 사유와 감성을 획득한다.
Born in 1965 in Korea
Education
M.F.A
Kyung-Hee Univ. Seoul Korea
B.F.A Kyung-Hee Univ. Seoul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09 'Dual Skin Project', 'Gallery Artside, Seoul, Korea
2007 'Skin of Time', Gallery Touch Art, Gyeong-Gi Do
2006 'Galaxy', Kim Chong Yung Sculpture Museum,Seoul, Korea
2005 'Gold Line', Cite International des Arts, Paris, France
2004 'Wall Sculpture', Gallery ARTSIDE, Seoul, Korea
2003 'Iron Age Stories', Dukwon Gallery, Seoul, Korea
2002 'Small But Great', Gallery ARTSIDE, Seoul, Korea
2000 'Aesthetics of Slowness', Moran Museum of Art,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1 Smartly 3D (Gallery ARTSIDE)
International Sculpture Festa 2011 (Hangaram Art Museum)
Earth, Iron and Glass (Kring)
2010 Unfamiliar Time, Familiar Space (Interalia Art Company)
Korea Tomorrow (Setec)
Him of Gyeonggi-do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Yaita-Ecology International Sculpture Exhibition (Japan)
Lifescape in Art (Pohang Museum of Steel Art)
Vancouver Biennale (Vancouver, Canada)
2009 Seongnam Open Air Sculpture Festival (Tan River)
廣場遊戱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DIY Universe, 10 Years After Version 5 (Daejeon Museum of Art)
A Sense of Timing (Kring)
Korean Eye: Moon Generation (Saatchi Gallery, London, UK)
CLIO Cosmetic Jam (Insa Art Center)
2008 Pride of Iron (Seoul Cultural Assets)
Inevitable Cloud (Yangpyeong Project)
Voyage Without Boundaries (Busan Biennale)
Space Explorer (Beijing, China)
3+3 (Cube, Seoul)
The 11th Icheon International Sculpture symposium (Woljeon Museum)
Awards
Artist of the Year 2006, Kim Jong Young Art Museum, Seoul, Korea
Chungdu Biennale, Chungdu, China
교육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조각전공)
경희대학교 졸업(조각전공)
주요 개인전
2009 Dual Skin Project (아트사이드, 서울)
2007 Skin Of Time (갤러리 터치아트, 경기도)
2006 Galaxy (김종영미술관 오늘의 작가전, 서울)
2005 Gold Line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Paris, France)
2004 The Wall Sculpture (갤러리 아트사이드, 서울)
2003 Iron Age Stories (덕원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 서울)
2002 <자연의 본질> (갤러리 아트사이드, 서울)
2000 <느림의 미학> (모란미술관, 경기도)
주요기획전
2011 ‘스마트하게3D' - 아트사이드 4인전
‘눈’- 한국도자재단
'서울국제조각페스타 2011'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흙, 철 그리고 유리' - Kring
2010 경기도의힘(경기도미술관)
Yaita-Ecology International Sculpture Exhibition (Japan)
미술 속 삶의 풍경